본문 바로가기
그냥 쓰는 글

출퇴근시간이 중요한 이유

by 노이유 2023. 8. 17.
728x90

그냥 쓰는 글 2023.08.17(출퇴근시간이 중요한 이유)

난 지금 중소기업에서 일하고 있다. 현재 사는 곳에서 다니는 직장까지 차로는 30~40분 정도인데 난 차가 없어서 통근버스로 출퇴근하거나 대중교통을 이용한다. 그러다 보니 출퇴근 시간이 엄청 길어진다. 출퇴근 시간이 길어지면서 느낀 점에 대해 적어본다. 출퇴근 시간은 무조건 짧은 게 좋다.

 

1. 시간이 너무 아깝다.

나는 현재 통근버스로 퇴근하면 50분 정도 걸리고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1시간 40분정도 걸린다. 그리고 통근버스의 경우에 생산직 기준으로 운영이 되고 있어서 생산직이 야근하면 퇴근시간이 늦어져 대중교통 타고 퇴근한다. 근데 길에서 버리는 시간이 너무 아깝다. 버스에서 할 수 있는 것이 엄청 제한적이다. 음악, 유튜브, 팟캐스트 정도가 할 수 있다. 출퇴근 시간을 활용해서 공부를 한다거나 업무를 보거나 하면 좋겠지만 겁나 힘들다. 일단 버스에 앉아서 못가면 할 수 있는 게 없고 움직이는 차 안에서 무언가를 하는 게 현실적으로 힘들다. 

 

2. 체력적으로 힘들다.

버스에 타서 아무것도 안하고 움직이는 것인데 이게 엄청 힘들고 피곤하다. 뭔가 기 빨리는 느낌이 들고 퇴근하고 오면 힘들어서 밥맛도 없고 모든 것이 하기 귀찮아진다. 그냥 버스 타는 것뿐인고 엄청 육체적으로 힘쓰거나 움직이는 것이 아닌데 왜 그렇게 힘든지 모르겠다. 어쨌든 1시간 넘게 버스 타고 집에 오면 정말 피곤해서 다른 뭔가를 하기 힘들다. 

 

3. 퇴근시간이 늦어지면 모든 것들이 늦어진다.

퇴근시간이 길어지면 저녁식사가 늦어진다. 그러면 밥 먹고 씻고 쉬라고 하면 밤 10시 금방이다. 유튜브 좀 보다보면 금방 12시이다. 이때라도 자면 좋은데 잠들기 너무 아쉽다. 나만을 위해 쓸 수 있는 시간이 너무 없고 잠들기 싫어 유튜브 보다 보면 금방 새벽시간이 된다. 그렇게 새벽에 잠들고 아침에 일어날 때 피곤하게 일어날 수밖에 없다. 그러면 아침에 커피를 먹으며 일해야 하는 상황이 생기는 것이다. 

 

이렇게 출퇴근 시간이 길면 생기는 단점에 대해 적어봤다. 나도 이제 차를 사야한다. 업무적으로도 그렇고 언제까지 이렇게 길에서 시간을 버릴 수 없기 때문이다. 10월 달 안에 차 사야겠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