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슈

66세 이상 빈곤 위험도 OECD 1위

by 노이유 2022. 4. 6.
728x90

폐지를 모으는 노인의 모습

6일 통계청이 발표한 '한국의 지속가능 발전목표(SDGs)SDGs 이행보고서 2022'에 따르면 우리나라 66세 이상 인구의 상대적 빈곤율(중위소득 50% 이하 소득 인구의 비율)은 40.4%로 집계됐다.

이는 1865세 빈곤율(10.6%)의 4배에 가까운 수준이다.

1865세 빈곤율 대비 66세 이상 빈곤율로 측정한 고령층의 상대적 빈곤 위험도는 367.8%(2018년 기준)로, OECD 국가 가운데 1위였다.

상대적 빈곤 위험도 상위 국가인 스위스(250.0%), 호주(246.9%), 일본(153.8%) 등과 비교해도 우리나라의 빈곤 위험도는 월등히 높았다.

노인 저소득 문제도 여전히 심각했다.

지난 2020년 기준 우리나라 66세 이상 인구의 균등화 중위소득(처분 가능 소득 기준)은 1천809만 원으로,8091865세 인구(3천240만 원)의24055.8%에 그쳤다.

 

대한민국은 심각한 인구 감수와 고령화 사회의 빠른 진입 그리고 저성장의 오랜 기조가 지속되면서 노인 빈곤율이 높아지고 있다. 지금 당장의 노인 빈곤율도 심각한 상황이지만 현재 20대 30대도 노후에 대한 준비를 지금부터 해놓지 않으면 정말 위험해질 것이다.

 

왜냐하면 현재 나라 부채는 엄청나게 많은 상태이고 국민연금은 고갈될 위기에 처해있다. 게다가 인공지능의 발달로 대부분의 많은 일자리가 사라지고 있고 사라지고 있는 중이다. 거기에 기대수명은 높아져서 잘하면 100살까지도 살 수 있는 시대가 된 것이다.

 

돈은 없는데 오래 살고 몸은 늙어 돈 벌 수 없어 가난한 상황에서 노년을 보내야 하는 것이다. 정부가 지원금을 준다고 하지만 얼마나 될지 잘 모르겠다.

 

아무튼 20대 30대부터 노후를 준비해야 하는 상황이 씁쓸하기만 하지만 그래도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야겠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