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자동차 판매량은 최근 5년 내 가장 적었지만, 판매 가격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가 6일 발표한 ‘2021년 자동차 신규등록 현황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자동차 판매 대수는 전년 대비 9.0% 감소한 173만5000대로, 최근 5년 평균 판매량(182만 2000대)의90% 수준에 그쳤다.
세제 감면과 보복 소비로 자동차 판매량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재작년의 기저효과에 더해 공급망 차질에 따른 출고 지연 등이 판매량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지난해 자동차 내수 판매액은 총 76조 6000억 원으로, 오히려 전년 대비 1.8% 증가했다. 특히 신차의 평균 판매 가격은44204420만 원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40004000만 원을 넘어섰다.
수입차와 대형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SUV 전기동력차 등 고가 차량의 판매 호조가 지속된 덕분이다.
수입차 판매 대수는 전년 대비 2.3% 증가한 30만 9591대로 2년 연속 3030만 대를 넘어섰다. 수입차의 금액 기준 시장점유율은 32%로, 처음으로 30%를 돌파했다.
벤틀리·롤스로이스·람보르기니 등 초고가 수입차 브랜드의 판매 대수는 전년(1234대) 대비 25% 증가한 1542대로, 역대 최다였다. 이 중 85%는 법인·사업자가 구매한 차량으로 집계됐다.
이와 함께 신차 판매 대수에서 대형 SUV가 차지하는 비중도 역대 최대치인 19.6%에 달했다. 최근 대형 SUV 신모델과 국내 여행이 늘면서 판매 대수는 전년 대비 5.4% 증가했다.
순수 전기차·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수소 전기차 등 전기동력차는 차종·모델의 다양화에 힘입어 판매 대수 기준 시장 점유율이 전년 대비 6% 포인트 상승한 16.9%까지 성장했다. 판매 대수는 전년 대비 43.1% 증가했다.
하이브리드차와 마일드 하이브리드차까지 포함하면 시장점유율은 20.1%까지 늘어난다.
또 개인의 신차 구매는 줄고 법인·사업자 구매는 늘어나는 추세가 지속되면서 법인·사업자의 신차 구매 비중은 30%로 높아졌다.
법인·사업자의 구매 차량을 살펴보면 국산차는 4.0% 감소한 반면 수입차는 5.6% 늘었다. 공유차·장기 렌트 등 사업용으로 구매한 차량 대수는 전년 대비 2.8% 증가했다.
수입차 브랜드별로는 독일과 미국계 브랜드 판매 대수가 전년 대비 각각 2.6%, 6.4% 늘며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원산지별로는 BMW ‘iX3’ 등 중국 공장에서 생산되는 고급 모델이 늘면서 중국산 차량 판매 대수가 전년 대비 38.1%나 증가했다.
요즘에는 정말 외제차가 흔해진 거 같다. 법인이나 사업자 이름으로 차를 구매하지 않더라도 중고차도 있고 장기렌트도 잘 되어 있다 보니 많이 타고 다니는 거 같다.
게다가 법인이나 사업자로 차를 사면 비용처리를 통한 세금 감면이 있고 개인이 사기 부담스러운 차를 법인으로 사면 부담이 덜 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외제차가 흔해지면 흔해질수록 외제차의 대한 이미지나 브랜드 가치가 떨어지지 않을까 싶다.
BMW나 벤츠는 현대나 기아 같은 대중성 있는 브랜드가 아니고 그렇게 마케팅 및 브랜딩을 해왔다. 그런데 이렇게 외제차가 흔해지면 BMW나 벤츠와 같은 급으로 보는 사람이 점점 많아지고 프리미엄 브랜드가 아님 대중 브랜드의 이미지가 되는 게 아닌가 싶다.
물론 BMW나 벤츠가 그렇게 되지 않기 위해 노력하겠지만 말이다. 수입차 사는 사람이 많아졌는데 한국 자동차 기업은 좋은 품질과 디자인으로 매출이나 점유율을 뺏기지 않았으면 좋겠다.
'경제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분기 수입 곡물 가격 또 오른다 (4) | 2022.04.07 |
---|---|
LG화학 1분기 영업이익 8406억원 키움증권 주가85만원 유지 (3) | 2022.04.07 |
66세 이상 빈곤 위험도 OECD 1위 (4) | 2022.04.06 |
상장기업들 코로나에도 지난해 매출·이익 '사상 최대' (3) | 2022.04.05 |
중단됐던 항공노선 속속 운항 재개···인천공항 하루 이용객 2만명 넘어 (5) | 2022.04.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