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슈

국민 4명 중 1명은 주식투자자 전년대비 50% 급증

by 노이유 2022. 3. 17.
728x90

사진-한국예탁결제원

 

 

지난해 주식 열풍으로 투자자 수가 사상 처음 10001000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2021년 말 기준 12월 결산 상장법인 2426사의 소유자(중복소유자 제외)는 약 1384만명(법인소유자 등 포함)이었다. 전체 국민 4명 중 1명꼴로 국내 주식 투자를 하는 셈이다. 이는 2020년(910만명)과 비교할 때 50.6% 증가한 수치다.

전체 소유자가 가진 총 주식수는 약 1072억주로, 1인당 평균 7747주를 소유했다. 평균 소유 종목은5.96주였다.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서 주식 소유자가 가장 많은 회사는 삼성전자로, 주주는 561만 4490명에 달했다. 2020 295만 8682명 대비 89.8% 급증해 압도적 1위를 기록했다.

다음으로 카카오(191만 8321명), 현대자동차(117만 8677명), 대한항공(87만 8257명),sk하이닉스(87만 6593명)가 뒤를 이었다.

코스닥시장은 셀트리온 헬스케어(29만 4160명), 인터파크(29만 439명), 카카오 게임즈(26만 590명), 하림(22만 792명), 초록뱀 미디어(20만 3932명) 순으로 소유자가 많았다.

개인 투자자는 40대가 23.0%로 가장 많았고, 소유 주식수는 50대가 33.7%로 1위를 차지했다. 30대 이하 투자자도 2020 34.7%에서 지난해 40.5%로 증가했다.

지역별 주주는 경기도가 360360만 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고, 서울과 부산이 그다음이었다. 소유주식수는 서울, 경기, 부산 순이었다. 인구수 대비 주식 소유자수 비율이 높은 지역은 서울(35.6%), 울산(31.4%), 대전(27.5%) 순이었다. 서울 강남구 거주 50대 남성의 평균 소유주식수가 가장 많았다.

예탁원 관계자는 "과거 비례 배정에서 작년 균등배정 등으로 공모주 배정 방식이 변경됐는데, 이에 영향을 받아 소액 투자자, 2030 등 젊은 투자자가 상당히 많이 증가했다"라고 말했다.

 

정말 주식이든 부동산이든 재테크는 선택이 아닌 필수인 시대가 됐다. 이제는 20대뿐 아니라 빠르면 10대들도 주식이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

 

난 대중들이 소비보다는 투자하는 모습은 좋다고 생각한다. 기업에게 투자하는 것은 기업 생태계의 활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단기간에 큰 수익을 바라고 투자하는 거라면 말리고 싶다. 주식시장은 그렇게 호락호락하지 않기 때문이다. 나도 수익을 보기 위해 공부 없이 사서 지금 뼈 아프게 수업료를 내고 있는 중이다. 

 

대한민국 국민들이 건전한 투자를 기업도 살아나고 국민들은 이익도 챙겨갔으면 좋겠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