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697

일의 감각 유튜브에서 조수용 씨의 인터뷰 영상을 봤다. 유튜브에서 제법 긴 영상 길이를 가지고 있었지만 몰입해서 다 봤다.  조수용 씨의 일에 대한 생각, 일을 대하는 태도, 그리고 자신의 경험이 다 버무려져 있는 책이다. 책을 읽으면서 정말 배운 것이 많았다.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브랜드에 대한 조수용 씨만의 철학과 그것을 밀고 나가는 실행력과 책임감이었다.  그리고 브랜드라는 것이 대단한 것이 아닌 기업 또는 대표자의 생각과 일의 태도를 꾸준히 보여주는 것이다라는 말은 정말 앞으로 계속 내가 가지고 가야 할 말이라고 생각이 들었다.  조수용 씨가 가장 좋았던 점은 아이디어는 대단한 것이 아니다 아이디어를 구체화시키고 실현시키는 것이 대단하다고 생각하는 그 지점이다. 많은 대표들이나 높은 사람들은 실무진들에게.. 2025. 3. 25.
쓸 만한 인간 2025.03.25 책 읽고 쓰는 글 옥천으로 이사 와서 만든 독서모임에서 첫 번째로 읽은 책이다. 예전에 밀리의 서재에서 오디오 북으로 들었었는데 자기 전에 틀어놓는 용도였다. 그래서 그런지 주의 깊게 듣지 않았고 무슨 내용인지 기억이 안 났다.  이번에 읽으니 책 내용이 좋았다. 가장 먼저 좋았던 점은 담백하다는 것이다. 보통 에세이들 책 보다 보면 뭔가 오글거릴 때가 있는데  이 책은 담백하고 순수한 느낌이었다.  그리고 작가가 자신의 생각을 독자에게 강요하는 느낌이 아니라 좋았고 중간중간 있는 개그포인트들이  책 읽는 소소한 재미가 됐다.  유머있지만 가볍지 않고 철학적이지만 이해 못 할 느낌은 아니었다. 주말에 시간 날 때 도서관에서 책을 빌려 커피 먹으면서 보면 시간이 정말 잘 갈 거 같은 책.. 2025. 3. 25.
결국 내가 궁극적으로 익혀야 하는 능력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12. 1.
과외하면서 느낀 점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11. 2.
내세울 것이 나이밖에 없는 사람들 그냥 쓰는 글 2024.11.01 (내세울 것이 나이밖에 없는 사람들) 세상을 살다 보면 여러 사람들을 만나고 그중에 이상한 사람들도 있다.내가 생각하는 이상한 사람 유형은 바로 나이가 많다는 이유만으로 대접받길 원하는 것이다. 본인이 아쉬운 입장임에도 불구하고 나이가 많고 상대방이 나이가 적다고 해서 대접받길 원한다.예를 들어 식당이나 어디 가계를 간다고 했을 때 주인은 아무리 나이가 많다고 해도 고객을 함부로 대하면 안 된다. 분명 손님이 나이가 어려도 고객이며 나에게 돈을 주는 사람인데 처음 봤음에도 불구하고 반말하는 사람들이 왕왕 있다. 그러면서 왜 초면에 반말이냐며 따지면 내가 나이가 몇인데?를 시전 한다. 난 그런 곳은 아무리 식당이 맛있고 가계가 물건이 좋고 저렴해도 가지 않는다.  내 직장.. 2024. 11. 1.
사람들에게 남기고 싶은 인상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10. 31.
인생노잼시기하면 좋은 것들 그냥 쓰는 글 2024.10.14 (인생노잼시기하면 좋은 것들) 사람이 학업을 종료하고 세상에 나오면 인생의 퀘스트를 다 깬 거 같은 느낌이 든다. 고등학교 때는 대학교만 가면 다 될 줄 알았고  대학교 때는 취직만 하면 모든 것이 다 잘 풀릴 줄 알았는데  막상 취직을 하고 직장생활을 하고 보니 사는 게 녹록지 않다.  집 회사 집 회사를 반복하고 퇴근하기 위해 출근하고  주말에 쉬기 위해 일하는 그런 삶을 살다 보면 사람이 지치고  인생이 재미없다. 사는 게 지치고 지루할 때 하면 좋은 것들에 대하 적어본다.  1. 청소 집 청소를 하면 생각보다 내가 넓은 공간에 살고 있구나를 느낀다.  그러면서 필요 없는 물건을 버리고 정리하면서 내가 생각보다 많은 물건들을  사용하지도 않고 쓰고 있었구나 느낀다... 2024. 10. 14.
로봇세 찬성 입장 그냥 쓰는 글 2024.10.08 (로봇세 찬성 입장)로봇세라는 개념이 있다.로봇세란 로봇이 일자리를 대체하게 되고 엄청난 실업자들이 쏟아질 미래의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 도입하자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 로봇에 대한 세금이다. 난 로봇세를 걷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과거의 생산수단은 땅, 공장, 사람이었지만 이제는 세상이 바뀌었다. 이제는 로봇이 새로운 생산수단이 될 것이이미 로봇을 통해 많은 부를 쌓고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변화하는 세상에 맞춰 로봇세가 도입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2024. 10.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