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유가가 14년 만에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서면서 원유 수입 의존도가 높은 국내 산업계에 초비상이 걸렸다. 치솟을 대로 치솟은 원자재 가격 부담에 에너지 가격 급등까지 겹치면서 올해 경영 계획은 이미 틀어진 상태다. 특히 러시아에 대한 추가 에너지 제재 여부에 따라 '오일쇼크' 수준의 파장도 불가피해 국내 경제 전체에 심각한 타격이 우려된다.
7일(현지시각) 뉴욕 상업거래소에서 4월 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WTI 가격은 배럴당 119.4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종가 기준 2008년 9월 이후 최고치다. 장중 12.81% 오른 배럴당 130.50달러까지 치솟았다. 같은 시각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5월 물 브렌트유는 배럴당 123.21달러에 마감했다. 전일 대비 5.1달러(4.32%) 오른 수치다. 역시 장중 15.99% 오른 137.00달러를 찍으며 2008년 7월 이후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원유 의존도가 국제협력개발기구(OECD)회원국 중 최고 수준인 산업계의 비용 부담은 급격히 증가할 전망이다.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원유 수입 물량 중 러시아산은 5.6%인 5374만배럴이다.
항공·해운 업계는 초긴장 상태다. 매출원가에서 항공은 20~30%, 해운사는 15~25%를 각각 쓸 정도로 유류비는 높은 고정비 요소로 꼽힌다. 실제 대한항공은 유가가 상승하기 시작한 지난해 4분기 연료비에만 58915891억 원을 쏟았다. 전년 동기 대비 128.2% 증가한 액수다. 연간으로는 1조 8000억 원으로80002020년보다 44.3% 증가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통계적 수치와 시장 상황을 감안해 헤징(위험 회피) 등을 시행해 위험관리를 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정유업계는 전쟁 장기화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유가가 오르면 원유 비축분 가치 상승으로 재고평가 이익을 보지만, 급등세가 지속되면 불확실성이 커져 석유제품 가격이 인상, 수요가 위축될 수 있어서다. 이는 최악의 시나리오로, 가동률 하향 조정 같은 긴급 조치를 검토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석유제품에서 원윳값과 수송비 등을 뺀 정제마진도 급감했다. 정제마진은 정유사의 핵심 수익성 지표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1월 계약분은 3~4월까지는 들어올 것이기 때문에 정유사들이 가동률을 낮추고 싶어도 물량을 비축할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전쟁 여파로 유가 변동성이 커져 정제마진이 단기 급감한 것으로 보이지만, 이런 흐름이 전체 석유제품 수요 감소로 이어질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라고 했다.
러시아 때문에 정말 여러 나라와 많은 기업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 정말 러시아는 세계대전이라도 일어나야 정신을 차리지 않을까 싶다. 아무리 예전 전성기 때가 그립다고 해도 이렇게 무력 침공을 해도 되는 건지 모르겠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해서 국제 원유값이 오르고 때문에 운송비뿐 아니라 물가가 전체적으로 오르고 있다. 이렇게 갑작스럽게 물가가 오르면 충격이 많은데 충격을 어떻게 흡수할지 모르겠다.
제발 코로나도 끝나고 러시아도 침공을 그만했으면 좋겠다.
'경제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석열 테마 '원전주' 두자릿수 급등 (5) | 2022.03.10 |
---|---|
삼성전자 주가 7만원대 깨졌다 (8) | 2022.03.08 |
핀다 대출금 상속 방지를 위한 무료 신용보험서비스 가입 2만명 돌파 (6) | 2022.03.07 |
서울시 다음 달부터 모든 신생아에 200만원 바우처 지급한다 (8) | 2022.03.06 |
반려동물을 위한 펫보험 출시 (3) | 2022.03.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