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국내 주식을 팔았던 외국인들이 최근 매수로 돌아섰다. 외국인은 지난달 마지막 4 거래일(5월 26~31일)26~31 동안 1조 7000억 원이7000 넘게 순매수하며 월간 기준으로도 순매수로 돌아섰다. 월간 기준으로 외국인이 순매수한 것은 지난해 12월 이후 처음이다. 올해 들어 계속됐던 외국인 매도세가 일단락되고 앞으로 증시 수급 상황이 개선될지 주목된다. 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26일부터 31일까지 4 거래일 동안 외국인은 유가증권시장에서 1조 7275억 원을 순매수했다. 특히 지난달 31일에는 1조 573억 원을573 순매수했다. 6월 1일 MSCI 리밸런싱(재조정)에 앞서 해당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 펀드 자금이 장 마감에 맞춰 5000억원이 몰리며 매수세가 불었다.
이 같은 대량 매수에 외국인은 월간 단위로도 지난달에 1306억원을 순매수하며 작년 12월 이후 처음 매수 우위로 전환했다. 앞서 외국인은 올해 들어 지난달 25일까지 유가증권시장에서 12조원 넘는 금액을 순매도해 증시 하방 압력을 키워왔다. 외국인은 5월 한 달간 기아(000270)(3970억원), LG에너지 설루션(373220)(2880억 원),우리 금융지주(316140)(1980억 원),후성(093370)(1640억 원),KB금융(105560)(1540억 원) 등 자동차·2차 전지·금융·2 종목을 순매수했다.
반면 같은 기간 개인은 1조 62억 원을62 순매도해 올해 들어 처음으로 매도 우위로 돌아섰다. 개인은 올해 들어 지난달 25일까지 유가증권시장에서 18조 5000억 원을 사들이며 ‘저점 매수’를 이어왔는데, 최근 지수가 반등하면서 단기 차익 시현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개인은 HMM(011200)(-4260억 원),LG에너지솔루션(-3480억 원), 기아(-3080억 원) 등을 주로 팔았다. 긴축 이슈가 이미 반영된 상황에서 중국 경기의 둔화세가 저점을 찍으면서 외국인이 국내 증시에 돌아올 환경이 된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주식시장 관련 동향을 보면 재밌는 것들이 보인다. 바로 외국인의 매수와 매도 타이밍이다. 외국인은 국내 개인들이 매수하는 시점에 물량을 다 팔고 개인들이 파는 시점에 매도를 한다. 외국인과 개인의 매수 매도 타이밍이 정반대인 것이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매수와 매도만 따라 해도 잃지 않을 거 같다는 생각을 한다. 물론 외국인만 따라 한다고 다 돈 버는 것은 아니겠지만 외국인과 기관 개인들의 투자 동향이나 방향을 관찰하고 분석하다 보면 주식 보는 눈이 키워지지 않을까 생각한다.
'경제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놀자 인터파크 인수 추진…공정위 기업결합 신고 접수 (0) | 2022.06.02 |
---|---|
"연 5% 적금 떴다" KB저축은행 1만좌 한정 '꿀적금' 특판 (0) | 2022.06.02 |
로봇이 튀기는 치킨집 가보니… “두 시간에 100마리도 거뜬” (2) | 2022.06.01 |
인터넷은행 예·적금 금리 3%시대 토스뱅크의 행보는? (1) | 2022.06.01 |
대우조선 사무기술직 190여명 뽑는다…8년 만에 세자릿수 채용 (0) | 2022.05.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