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두 달 연속으로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대출금리 상승 속도에도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특히 연 최고 6.4%까지 올라온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는 약 13년 만에 처음으로 7%대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한국은행 금통위는 26일 오전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1.75%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이는 지난 4월에 이어 2회 연속 인상이다. 이로써 지난해 8월부터 인상된 기준금리는 지난 2018년 11월 수준으로 회귀했고 2%대 진입을 앞두고 있다.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출금리가 오르면서 대출 차주들의 부담도 심화할 전망이다. 이날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혼합형 주담대 금리는 최고 연 6.41%로 나타났다. 주담대 금리가 통상 기준금리 인상 폭의 2배가량 오르는 경향이 있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기준금리 인상으로 시중은행 주담대 금리는 조만간 연 최고 7%대까지 오를 수도 있다고 업계는 내다봤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가계대출은 총 1752조7000억 원이다. 이 중 77%가 변동금리 대출인 만큼 기준금리 인상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기준금리 인상 폭(0.25%포인트)만큼 대출금리가 오를 경우 가계의 연간 이자 부담은 대출자 1인당 16만 원꼴로, 약 3조3000억 원 늘어난다.
기준금리가 올라가며 은행의 예금 적금 금리도 올랐는데 대출금리는 그보다 더 많이 올랐다. 은행도 예대마진을 챙겨야 하니 대출금리가 더 많이 오른건 이해가 가는데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올랐다는 건 씁쓸하다. 주택담보대출은 서민들이 내 집마련할 수 있는 몇 안되는 길인데 그 길이 좁아지고 있는거 같아 마음이 무겁다. 참 경제도 그렇고 정치도 그렇고 요즘 사는게 어수선하고 정신없다. 이 혼란한 세상살이 속에서 어떻게 살아야 할지 막막하긴 하다. 그래도 정신 똑바로 차리고 살아서 부자되야 겠다.
'경제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조기업 10곳 중 9곳 "탄소배출 줄이려해도 규제 때문에 어려워" (0) | 2022.05.29 |
---|---|
정부 역대 최대 규모 보조사업 52% 폐지·감축 등 구조조정 (0) | 2022.05.29 |
비트코인 3만 달러대 붕괴…이더리움 8%↓ (2) | 2022.05.27 |
반도체 가격 인상 가능성에 가전제품 더 비싸진다 (1) | 2022.05.26 |
새로 생긴 일자리의 절반 이상이 노인일자리…30대 일자리는 9분기째 감소 (0) | 2022.05.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