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이 전면 해제하자, 온라인 여행·교통 서비스 거래액은 급증하고 2년 간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던 배달 음식 주문액은 통계 작성 이후 가장 작은 증가폭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4월 온라인 쇼핑 동향(잠정)'에 따르면 지난 4월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16조457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1.9%(1조7561억원) 증가했다. 상품군별 증가세는 지난해와 눈에 띄게 달라졌다. 가장 먼저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았던 여행 및 교통서비스 거래액이 1조3263억원으로 89.8%(6275억원)가 늘었다. 이는 월간 기준 2020년 1월(1조5345억원) 이후 가장 많은 거래액이다. 여행 관련 소비가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한 셈이다. 같은 달 기준으로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4월(1조3951억원)의 95.1%에 해당한다. 이는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항공권·교통 티켓·렌터카·숙박시설 등에 관한 수요가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외부 활동이 증가하면서 문화 및 레저서비스, 의복도 1년 전보다 각각 114.1%, 19.4% 증가했다.
반면 배달 등 음식 서비스 거래액은 2조89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133억원(5.7%)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는 통계가 작성된 2017년 이후 최소 증가액이자 증가율이다. 코로나19 확산 등에 두 자릿수 이상 증가율을 유지하던 음식 서비스 거래액은 거리두기 해제로 배달 수요가 일부 외식 수요로 옮겨간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내구재인 가구와 컴퓨터 및 주변기기는 1년 전보다 각각 6.1%, 4.1% 감소했다. 화장품 거래액은 17.6% 감소한 8488억원으로 동월 기준 2018년 4월(8024억원) 이후 가장 적었다. 해외 관광객이 줄면서 온라인 면세점 거래가 줄어든 영향으로 풀이된다.4월 전체 모바일 쇼핑 거래액은 12조2831억원으로 지난해 동월 대비 15.7%(1조6693억원) 증가했다. 온라인 쇼핑 거래액 중 차지하는 비중은 74.6%로 2.4%포인트 상승했다.
거리두기 해제 이후로 배달이 많이 줄어 배달을 그만두거나 부업으로 했던 도보 배달이나 자전거 배달을 안 한다는 사람이 많다고 한다. 코로나로 인해 배달이 역대급 성수기를 맞이했지만 코로나가 끝나가니 예전의 자리로 돌아가고 있는 거 같다. 근데 내 생각에는 다시 배달량이 많아질 거 같다, 코로나 때 사람들은 배달의 편리함을 알아버렸고 배달비 가격 인상이 걸리긴 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사람들은 배달료에 대해 무뎌질 것이다. 또한 무료 배달 플랫폼이 나올고 있으니 배달에 대한 수요는 다시 늘어날 것이고 지금은 과도기적 단계라고 생각한다.
'경제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의점에 시트지 붙인다고 흡연율이 줄어들까? (0) | 2022.06.08 |
---|---|
"리니지 색깔 지워라" 엔씨소프트의 새로운 도전 (0) | 2022.06.04 |
하이트진로 화물연대 파업에 소주 생산 차질 (0) | 2022.06.03 |
야놀자 인터파크 인수 추진…공정위 기업결합 신고 접수 (0) | 2022.06.02 |
"연 5% 적금 떴다" KB저축은행 1만좌 한정 '꿀적금' 특판 (0) | 2022.06.02 |
댓글